익숙하지만 낯선 풍경들

윤진섭(미술평론가)  


       

Ⅰ.

 한국미술평론가협회가 주최하는 2018년도 <작가상>은 권여현에게 돌아갔다. 이 상은 제1회 수상자로 조각가 정현을 배출한 이래 한국화가 석철주, 사진작가 민병헌 등 한국 현대미술의 흐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 중견 내지는 중진작가들을 선정, 매년 수상해 왔다. 동 협회는 이 상의 제정 취지에 대해 “자기 세계를 굳건히 지키면서 새로운 경지를 모색하는 작가에게 이 상을 수여”한다고 밝히고 있다.

 다소 늦은 감이 있지만 권여현에게 이 상이 돌아간 것은 지난 30여 년간 그가 보여준 왕성한 실험정신과 매체에 대한 개방적 의식, 그리고 철학을 비롯한 현대의 다양한 정신문화를 흡수, 소화하여 자기화하려는 꾸준한 욕망을 높이 산 때문이 아닌가 한다. 실로 권여현은 하나의 스타일(樣式)을 개발하면 평생토록 우려먹는 안주형(安主型)의 작가들과는 달리 다양한 변신을 거듭해 왔다. 나는 어느 글에선가 그런 그를 가리켜 ‘변신의 천재’라는 수사(修辭)로 그를 묘사한 적이 있다. 그도 그럴 것이 권여현은 회화를 중심으로 오브제, 설치, 사진, 미디어 아트, 퍼포먼스, 그리고 최근에는 실험영화에 이르기까지 가히 전방위적 활동을 펼쳐왔기 때문이다. 도대체 이런 왕성한 활동의 배경에는 과연 어떤 요인이 잠재돼 있는가? 화단 데뷔 초기부터 그의 활동에 관심을 갖고 지켜봐 왔고, 또 그의 작품세계에 관한 글을 수차례에 걸쳐 쓴 적이 있기 때문에 나는 그를 좀 안다고 할 수 있겠으나, 그 정열의 원동력이 되는 심리적 요인에 대해서는 아직도 미처 모르는 게 많이 있음을 고백하지 않을 수 없다.

 그렇다. 작가를 다 이해한다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작업이라는 것이 작가 자신도 완전히 다 알지 못할 만큼 불가해한 측면이 있으며, 더구나 우연적인 요소마저 감안한다면 특히 동시대미술에 나타나고 있는 저 다양한 개념적인 양태들은 작가를 일종의 신비스런 베일 속에 안치하기에 매우 적합한 장치이기 때문이다. 얼핏 보기에 권여현의 작품이 어려워 보이는 이유도 따지고 보면 그가 화면에 깔고 있는 허다한 지식의 원천 때문이다. 관객들이 그의 그림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일단 그림에 나타나고 있는 무수한 도상들의 출처(원전)를 알아야 하며, 나아가서는 그것들이 그에 의해 현재화되는 미술사적 내지는 문화사적 맥락은 물론 왜 그것들이 나타나는가 하는 문제에 대한 작가의 심리적 동인을 파악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사실을 전제로 한다.

 그렇다면 그 이면의 실상은 과연 무엇인가? 그것을 알기 위해서는 90년대 초반에 내가 그를 가리켜 ‘내밀한 독백형의 작가’라고 요해한 것처럼, 마치 누에가 뽕잎을 먹고 가는 명주실을 뱉어내듯이 의식의 화학적 변화의 결과물인 그의 진술에 대해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80년대 중반에서 90년대 중반에 이르는 시기에 권여현의 그림을 관류하는 도식은 ‘Y’라고 하는 시간축과 ‘X’라고 하는 공간축의 교차점이었다. 비유하자면 그는 바둑판처럼 두 축이 교차할 때 생기는 무수한 정방형들로 이루어진 판상에 정교한 의식의 풍경을 그리고자 했던 것이다. 세상에 태어난 이래 작가가 살아온 시간과 공간의 추이를 일종의 의식의 흐름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이러한 시도는 미궁처럼 복잡해 보이는 기호와 상징, 그리고 영상들로 가득 찬 작품들을 낳았다. 그 요체는 과연 무엇인가? 나는 90년대 초반에 쓴 한 글에서 다음과 같이 밝힌 바 있다.

 

 “그것은 곧 ‘거울’과 ‘벌레’로 대변되는 두 개의 메타포이다. 전자는 ‘나르시시스트’로서의 작가 본연의 모습이고, 후자는 변신의 천재로서의 권여현의 면모이다. 이 두 가지의 메타포가 구체적으로 표상된 것이 다름 아닌 등장인물로서의 전경(前景)이라고 한다면, 시간과 공간을 의미하는 X-Y의 두 축은 일종의 에피소드요 삽화로 후경층(後景層)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 두 요소를 통해 그의 그림의 내용이 실은 이 두 개의 메타포와 요소들의 복잡한 변형에 다름 아니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자의식의 투영과 인식 지평의 확장-권여현 론(論), 1994>-

 

 그로부터 다시 20여 년의 세월이 흘렀다. 그것은 과연 어떻게 변했는가? 이제 권여현의 작품세계는 더욱 확장되고 복잡다기한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다. 단절이 아닌 연속의 양상을 띠고 진화해 온 그 세계의 심부에 자리 잡고 있는 핵심적인 요소는 이른바 ‘포스트모던’ 문화의 내면화이다. 이미 그는 90년대 초반에 산적(Kebab>, 깔대기, 물맷돌(water millstone)과 같은 일상용품의 등장을 통해 동서양의 명화들을 한 자리에 공존시키는 회화적 전략을 구사하기 시작했다. F. 니체와 춘원, 말러의 초상화와 혜원의 도상을 화면에 등장시키는 가운데 선형적(linear)이 아닌 리좀적(rhizomatic) 시간관을 도입시킨 것이다. 비교적 오랜 역사를 지닌 맥거핀(Macguffin)의 세계는 이의 보다 정교하며 확장된 증보판이라고 할 수 있다.